Project Description

 

병원인테리어디자인으로 치유환경을 설계하다

병원 인테리어 디자인은 단지 외형이 아닌 환자의 감정과 회복을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일산병원의 플랜테리어 사례를 통해 치유 공간의 가치를 소개합니다.

지난 포트폴리오 보러가기


Preview

일산병원 로비의 메인플랜터 야간 모습, 은은한 조명 아래 벤자민고무나무의 광택있는 잎이 빛나는 치유 공간
일산병원 메인 플랜터의 야간 조명 효과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은 이제 단순히 기능적인 배치와 동선 설계를 넘어서 환자와 보호자의 정서적 안정과 공간 경험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치료와 진단, 그리고 기다림이 교차하는 공간이기에 디자인은 곧 병원의 철학을 전달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국내 유일의 보험자 직영 병원인 일산병원은 병원 인테리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플랜테리어를 기반으로 한 치유 중심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Main planter

일산병원 로비 중앙의 원형 메인 플랜터, 벤자민 고무나무와 관엽식물들이 자연광 아래 배치된 모습
일산병원 로비의 원형 메인 플랜터 주간 모습
일산병원 메인 플랜터의 야간 조명, 벤자민고무나무와 관엽식물들의 실루엣이 아름답게 연출된 모습
메인 플랜터의 야간 조명 효과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의 중심 공간인 로비에 배치된 원형 메인 플랜터는 시각적 장식이 아니라 동선을 자연스럽게 구획하고 공간을 부드럽게 나누는 역할을 수행한다.

벤자민 고무나무, 제나두 셀렘, 스파티필름 등 총 7종의 관엽식물이 다층 구조로 식재되어 공공 공간에 생명력과 그리너리한 분위기를 불어넣는다. 병원의 공식성과 긴장감을 완화하는데 기여하며 방문객에게 첫인상부터 안정감을 제공한다.

낮에는 유리 천장을 통해 자연광이 플랜터에 드리워지며 병원 특유의 경직된 분위기를 완화시킨다. 대기 중인 환자와 보호자는 식물이 전하는 시각적 휴식을 통해 한층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야간에는 실내 조도가 낮아지면서 식물의 실루엣과 텍스처가 더욱 강조된다. 이는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의 감성요소로서 식물은 인공적인 구조물로 구성된 실내에 자연과의 연결감을 제공하며 환자들에게 심리적 치유감을 전달한다.

일산병원의 플랜테리어 시공 전 보러가기


Furniture garden

일산병원의 퍼니처가든, 좌석과 식물이 결합된 디자인으로 프라이버시와 안정감을 제공하는 대기공간
식물과 좌석이 결합된 퍼니처가든
일산병원 퍼니처가든의 또 다른 각도, 관엽식물들이 자연스러운 칸막이 역할을 하며 편안한 대기공간을 조성한 모습
퍼니처가든의 프라이버시 보호 효과

좌석에 식물을 결합한 퍼니처가든은 병원인테리어디자인에서 중요한 프라이버시 요소를 강화하는 장치로 활용되었다.

방문객은 일정 간격을 두고 앉을 수 있어 시각적 간섭을 줄이고 자연 요소가 주는 심리적 여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플랜테리어가 적용된 퍼니처가든은 대기공간을 감성적인 휴식공간으로 전환시킨다.


Plant box

일산병원 에스컬레이터 근처의 라인형 플랜트박스, 아레카야자와 관엽식물들이 동선을 자연스럽게 구분하는 모습
에스컬레이터 근처의 라인형 플랜트박스
일산병원 플랜트박스의 세부 모습, 아레카야자와 호프셀렘 등이 층층이 구성되어 공간에 입체감을 더하는 모습
다양한 식물로 구성된 플랜트박스의 층층 구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인근에는 라인형 플랜트박스를 설치하여 이용자 동선 간 경계를 자연스럽게 풀어주는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의 효과를 구현하였다.

아레카야자, 호프셀렘 등 다양한 식물이 층층이 구성되어 공간에 입체감을 더한다. 이러한 플랜테리어 구성은 동선의 시각적 리듬을 조성하고 방문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Design pot

일산병원의 곡선형 디자인화분, 흰색 세라믹 화분에 심어진 관엽식물이 병원의 직선적 구조와 대비되는 유연한 인상을 주는 모습
곡선 패턴의 디자인화분
일산병원 디자인화분의 또 다른 배치, 건축물의 딱딱한 선과 대조되는 부드러운 곡선미를 강조한 플랜테리어 디자인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화분 배치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은 보통 직선 중심의 구조적 질서를 따르지만 디자인화분은 그와 대조되는 곡선 패턴을 통해 공간에 유연한 인상을 부여한다.

원무부 주변에는 흰색 세라믹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더해 긴장감을 낮추고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는 병원 인테리어에서 디테일이 가지는 심미적 영향력을 드러내는 플랜테리어 디자인이다.


Comment

일산병원 플랜테리어 전체 공간 조감도, 다양한 식물 요소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치유 중심의 병원 환경을 완성한 모습
일산병원의 완성된 플랜테리어 공간

일산병원의 플랜테리어 시공 사례는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이 외형을 꾸미는 작업이 아닌 사람의 감정과 경험을 설계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공공성과 기능이 중시되는 병원일수록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식물을 중심으로 구성된 병원 공간은 환자에게는 치유의 여백을, 보호자에게는 안심감을, 그리고 의료진에게는 업무 환경의 질적 향상을 제공한다. 병원인테리어디자인은 곧 환자의 회복과 직결된 공간 철학이다.